[데이터리안 SQL 실전반] Week 1 과제 (리텐션)
·
카테고리 없음
Retention 리텐션기존 사용자들이 서비스를 만족스럽게 사용하고 있는지, 지속적으로 사용하는지 보는 것지속적으로 사용하는지, 핵심가치를 꾸준히 경험하는지를 측정지속적 사용의 지표로 쓸 수 있는 것은 서비스 마다 다르다일반적으로 ‘방문’ 을 기준으로 함Classic Retention방문 기준일자마자 방문자의 단순 비율을 확인방문자 수 / 전체 유저한계사용 주기가 길면 계산한 리텐션이 실제보다 작게 측정됨Rolling Retention‘사용자가 이탈하지 않고 남아 있는가?’ 에 초점unbounded Retention 라고도 함기준일을 포함해, 그 이후에 한 번이라도 재방문한 유저의 비율사용 빈도가 높지 않은 서비스에서 유용여행서비스, 쇼핑몰, 부동산 서비스 …한계날짜가 늘어나고 방문하지 않던 유저가 다시..
[데이터리안 SQL 입문반] 입문반 후기
·
카테고리 없음
SQL 수강 목적 및 수강 후기수강 목적SQL 실무 학습SQLD 자격증을 1,2개 차이로 떨어지는 것이 반복되어 자격증 공부를 하기 싫었음하지만 실무 SQL은 할 줄 알아야 한다고 생각해 SQL을 배우고자 강의를 수강취업의 길을 넓히기 위한 학습데이터 분석가를 목표로 취업 공고를 보던 중 SQL을 요구하는 회사가 많다는 것을 확인데이터 분석가는 Python만 사용한다고 알고 있었는데 그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됨내가 목표한 직무, 활동이 데이터 사이언티스트와 데이터 분석가의 사이에 있어서 고민일단 배우면 도움이 되겠지 + SQL 강의를 수강하면서 자세한 직무를 정해보자 다짐느낀점SQL의 EDA와 Python의 EDA는 다르다.SQL : 원하는 형태의 데이터 추출Python : 원하는 형태의 데이터 추출 ..
[데이터리안 SQL 입문반] Week 2 과제 (RFM)
·
카테고리 없음
RFM 분석이란Recency : 얼마나 최근에 구매했는가 Frequency : 얼마나 자주 구매했는가 Monetary : 얼마나 많은 금액을 지출했는가실전 RFM 적용 시 고려할 점Recency, Frequency, Monetary를 각각 몇 단계로 나눌 것인가 Frequency, Monetary를 집계하는 기간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느낀점글의 기사를 보면 RFM의 단계를 나누는 기준이 모호하다. 도메인에 따라 RFM을 나누는 기준이 달라지기 때문인데, 도메인 이해도가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느꼈다.RFM을 나누고 나서 우수 고객과 떠나간 고객을 제외한 애매한 분류에 속한 고객의 프로모션은 어떤 방식으로 진행하는지 궁금해졌다.RFM 고객 세분화 분석이란 무엇일까요
tlswnrhd
주공